초급자 Be동사 영어 완전 정복

영어의 가장 기본적인 동사인 ‘be동사’의 개념, 형태, 주요 활용법, 그리고 흔히 저지르는 실수들을 종합적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1. ‘Be동사’란 무엇인가?

‘Be동사’는 영어 문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합니다.
주로 ‘~상태이다’ 또는 ‘~있다’ 의 의미를 가지며, 주어의 성질이나 상태, 존재를 나타냅니다.

2. ‘Be동사’의 다양한 형태와 주어 일치

‘Be동사’는 주어의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과 수(단수, 복수), 그리고 시제(현재, 과거, 미래)에 따라 형태가 변합니다.
초급자를 위한 Be동사 영어 완전 정복을 위한 be동사 am, are, is, was, were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2.1. 현재형 (Present Simple Tense)

  • am: ‘I’와 함께 사용됩니다.
  • 예: “I am a student.” (나는 학생입니다.)
  • is: ‘He’, ‘She’, ‘It’과 같은 3인칭 단수 주어 및 단수 명사(e.g., this, a singular subject)와 함께 사용됩니다.
  • 예: “She is a teacher.” (그녀는 선생님입니다.)
  • 예: “It is a sunny day.” (오늘은 맑은 날입니다.)
  • are: ‘You’, ‘We’, ‘They’와 같은 복수 주어 및 복수 명사(e.g., those, these, plural subjects)와 함께 사용됩니다.
  • 예: “They are friends.” (그들은 친구입니다.)
  • 예: “You are late.” (너는 늦었습니다.)

2.2. 과거형 (Past Simple Tense)

  • was: ‘I’, ‘He’, ‘She’, ‘It’과 같은 3인칭 단수 주어 및 단수 명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am과 is의 과거형)
  • 예: “I was tired yesterday.” (나는 어제 피곤했습니다.)
  • 예: “She was at the store.” (그녀는 가게에 있었습니다.)
  • were: ‘You’, ‘We’, ‘They’와 같은 복수 주어 및 복수 명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are의 과거형)
  • 예: “We were in the park.” (우리는 공원에 있었습니다.)
  • 예: “They were happy.” (그들은 행복했습니다.)

2.3. 과거분사형 (Past Participle)

  • been: ‘has’, ‘have’, ‘had’와 함께 사용되어 완료 시제를 구성합니다.
  • 예: “She has been to Paris.” (그녀는 파리에 가본 적이 있습니다.)
  • being: ‘am’, ‘are’, ‘was’, ‘were’와 함께 사용되어 진행형 수동태를 구성하거나 특정 상태를 강조합니다.
  • 예: “He is being kind.” (그는 친절하게 행동하고 있습니다.)

2.4. 원형 (Base Form)

  • be: 조동사(‘will’, ‘would’, ‘could’, ‘should’) 뒤에 오거나 to 부정사 등에서 사용됩니다.
  • 예: “I want to be a doctor.” (나는 의사가 되고 싶습니다.)
  • 예: “It can be challenging.” (그것은 도전적일 수 있습니다.)

3. ‘Be동사’의 주요 활용법

‘Be동사’는 다양한 문법적 구조에서 사용되며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nglishCentral Blog, 어메이징토커, 스픽 블로그)

  • 상태나 존재를 나타낼 때: 주어의 상태나 속성, 또는 존재 여부를 표현합니다.
  • 예: “She is at the park.” (그녀는 공원에 있습니다.)
  • 예: “They are loud.” (그들은 시끄럽습니다.)
  • 예: “She is a teacher.” (그녀는 선생님입니다.)
  • 명사와 함께: 나이, 신장, 길이, 무게, 사이즈, 모양, 색상 등을 표현.
  • 예: “I will be thirty next year.” (난 내년에 서른이 될 거야.)
  • 형용사와 함께: 신체 상태나 기분을 표현합니다.
  • 예: “I am happy.” (난 행복해.)
  • 장소와 함께: 어떤 장소에 있다고 이야기할 때 사용하며, 전치사 ‘at’, ‘in’, ‘on’과 함께 쓰입니다.
  • 예: “I am at home.” (난 집에 있어.)
  • ‘There + be동사’: ‘~가 있다’는 의미로 사물/사람의 존재를 언급할 때 사용됩니다.
  • 예: “There’s a hole in my sleeve.” (내 옷소매에 구멍이 하나 있다.)
  • 진행형 시제를 나타낼 때: ‘be동사 + 동사 -ing’ 형태로 동작이 현재 진행 중임을 나타냅니다.
  • 예: “I am studying.” (저는 공부하고 있습니다.)
  • 예: “He is reading.” (그는 독서를 하는 중이다.)
  • 예: “She is studying.” (그녀는 공부하고 있습니다.)
  • 수동태를 만들 때: ‘be동사 + 과거분사(p.p.)’ 형태로 동작의 주체가 아닌 대상을 강조하며, ‘~받다’, ‘~되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EnglishCentral Blog, 어메이징토커)
  • 예: “The cake was baked by Mary.” (그 케이크는 메리에 의해 구워졌습니다.)
  • 예: “The book was written by her.” (그 책은 그녀에 의해 쓰여졌습니다.)
  • 명령문과 제안문에서 사용될 때: 주어가 생략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예: “Be careful!” (조심하세요!)
  • 조건문에서 사용될 때: 가정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문장에서 사용됩니다.
  • 예: “If he were here, he would help us.” (그가 여기 있었다면, 우리를 도왔을 것입니다.)

4. ‘Be동사’와 일반동사의 차이점

영어 동사는 크게 ‘be동사’, ‘일반동사’, ‘조동사’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be동사’는 상태나 존재를 나타내는 반면, ‘일반동사’는 주어의 움직임이나 동작을 나타냅니다. (Flying English, [동사의 종류 3가지] 일반동사, be동사, 조동사의 기본 개념!)

  • 일반동사: ‘~하다’의 뜻으로, 주어의 움직임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eat’, ‘play’, ‘run’ 등 대부분의 동사가 이에 해당합니다.
  • 예: “I run every morning.” (나는 매일 아침에 달린다.)
  • 예: “She eats breakfast.” (그녀는 아침식사를 한다.)
  • 중요: 한 문장 안에서는 ‘be동사’와 ‘일반동사’가 동시에 쓰일 수 없습니다. (Flying English)
  • (X) “I am have a bag.” (O) “I have a bag.”

5. ‘Be동사’의 부정문 및 의문문

  • 부정문: ‘be동사’ 뒤에 ‘not’을 붙이면 됩니다. (‘am not’은 줄임형이 없고, ‘is not’은 ‘isn’t’, ‘are not’은 ‘aren’t’로 줄여 쓸 수 있습니다.) (고딸영어, 어메이징토커)
  • 긍정문: 주어 + be동사 + 나머지
  • 부정문: 주어 + be동사 + not + 나머지
  • 예: “She is happy.” -> “She is not happy.” (그녀는 행복하지 않다.)
  • 의문문: ‘be동사’를 문장 맨 앞에 써주면 됩니다. (‘do’나 ‘does’와 같은 조동사의 도움은 필요 없습니다.) (고딸영어)
  • 예: “He is busy.” -> “Is he busy?” (그는 바쁘니?) – 고딸영어
  • 대답은 “Yes, 주어 + be동사.” 또는 “No, 주어 + be동사 + not.” 형태로 합니다.
  • 예: A: “Is she coming?” B: “Yes, she is.” / “No, she is not.”

6. ‘Be동사’ 사용 시 흔히 저지르는 실수 (EnglishCentral Blog)

  • 주어-동사 일치 오류: 주어의 수와 인칭에 맞는 ‘be동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 “She are a doctor.”, “She is a doctor.”
  • “They is happy.”, “They are happy.”
  • 시제 일관성 오류: 문장 내에서 시제를 일관되게 사용해야 합니다.
  • “She was tired and goes to bed.” “She was tired and went to bed.”
  • 불필요한 ‘be동사’ 사용: 일반동사를 사용할 때는 ‘be동사’를 추가하지 않습니다.
  • “He is being is very smart.” “He is very smart.”
  •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혼동: 진행형이나 수동태를 구성할 때 올바른 분사 형태를 사용해야 합니다.
  • “The cake is baking by Mary.” “The cake is being baked by Mary.”
  • 부정문 및 의문문에서의 오류: ‘not’의 위치나 의문문에서 ‘be동사’의 위치에 주의해야 합니다.
  • “She not is coming.” “She is not coming.”
  • “Is she is coming?” “Is she coming?”

7. ‘Be동사’를 활용한 고급 표현 (From “[1시간 몰아보기] 원어민이 매일 쓰는 be 동사 패턴 30가지”)

원어민들이 일상생활에서 ‘be동사’를 활용하여 다양한 관용적인 표현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직역으로는 이해하기 어렵지만, 어원이나 상황적 의미를 통해 학습하면 영어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I’m on edge: 긴장되고, 초조하고, 불안한 상태. (예: “나는 가장자리 위에 있다”)
  • I’m under the weather: 몸이 좋지 않거나 컨디션이 안 좋을 때. (항해 관련 표현에서 유래)
  • I’m out of shape: 건강이나 체력이 좋지 않은 상태. (원래 몸매의 형태 밖으로 나간 것)
  • I’m torn between A and B: A와 B 사이에서 마음이 찢겨져 고민되는 상태.
  • I’m on a roll: 일이 잘 풀리거나 승승장구할 때. (주사위를 계속 잘 던지는 상황)
  • I’m all set: 준비 완료 상태.
  • I’m in the clear: 어떤 문제가 해결되어 더 이상 위험하거나 곤란하지 않은 상태. (주로 건강이나 법적 문제)
  • I’m all in favor: 완전 찬성, 전적으로 동의.
  • I’m not having it: 더 이상 받아들일 수 없거나 참을 수 없을 때.
  • You’re in for a surprise/trouble: 곧 놀랄 일/문제가 생길 것이다. (‘in trouble’은 이미 문제가 생긴 상황)
  • I’m out of time: 시간이 다 떨어졌을 때. (‘out of stock’과 유사)
  • She’s out and about: 밖에 나가 여기저기 돌아다니거나, 아팠다가 원기를 회복했을 때.
  • They’re back in business: 잠시 휴업했다가 다시 영업을 시작하거나, 끊겼던 서비스(인터넷, 전기)가 복구되었을 때.
  • I’m done with (something/someone): 어떤 관계나 일이 완전히 끝났음을 표현.
  • I’m through with (something/someone): 어떤 관계나 일이 끝났음을 표현 (done with과 유사).
  • She’s out to (동사원형): ~하기 위해 작정했거나 본격적으로 나섰을 때 (강한 의도 포함).
  • I’m down to (명사): 무언가가 줄어들어 액기스만 남았을 때, 선택지가 좁아진 상태.
  • I’m in no mood to (동사원형): ~할 기분이 전혀 아닐 때 (부정 강조).
  • I’m supposed to (동사원형): ~하기로 되어 있는데, ~해야 할 때.
  • I was about to (동사원형): 막 ~하려고 했었을 때.
  • I’m not big on (명사): ~에 그렇게 관심이 없거나 좋아하지 않을 때.
  • I’m prone to (명사/동사 -ing): 어떤 부정적인 상태나 행동에 빠지기 쉬운 경향이 있을 때.
  • I’m hooked on (명사): ~에 푹 빠졌거나 중독되었을 때.
  • I’m off to (장소): ~로 출발하거나 움직이는 상황.
  • I’m down to (동사원형): ~할 준비가 되어 있거나 의향이 있을 때 (캐주얼한 표현).
  • I’m behind (on something): 어떤 스케줄이나 일정이 밀리고 뒤쳐져 있을 때.
  • I’m up to it: (어떤 일을) 감당할 능력이 되거나 할 수 있을 때.
  • I’m out of the loop: 어떤 상황이나 정보에서 벗어나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모를 때.
  • I’m over the moon: 극도로 기쁘거나 환희에 찬 상태.
  • I’m all for it: 완전 찬성, 100% 지지.
  • I’m on to it: (어떤 문제를) 파악하고 있거나 처리하는 중 (시작 단계 뉘앙스).
  • I’m up for it: ~할 준비가 되어 있고 의욕이 넘칠 때.
  • I’m all ears: 귀를 활짝 열고 경청하고 있을 때.

결론

‘Be동사’는 영어의 근간을 이루는 동사로서, 그 형태 변화와 다양한 활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연습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영어 구사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특히 원어민들이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관용적인 ‘be동사’ 표현들을 학습하여 문맥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눈으로 읽는 것보다 직접 말하면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인 영어 문법 습득 방법으로 강조됩니다

댓글 남기기